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4

일본어 속 감정 표현을 나타내는 단어 기쁨을 나타내는 일본어 표현일본어에서 기쁨을 표현하는 단어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뉘앙스를 가질 수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표현으로 ‘嬉しい(うれしい, 기쁘다)’가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좋은 일이 생겼을 때 사용하는 감정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試験に合格してとても嬉しい!」(시험에 합격해서 정말 기뻐!)처럼 쓸 수 있습니다. 더 강한 기쁨을 나타낼 때는 ‘楽しい(たのしい, 즐겁다)’라는 표현도 자주 사용됩니다. 이는 단순한 기쁨보다 활동을 통해 느끼는 즐거움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友達と遊ぶのは本当に楽しい!」(친구들과 노는 건 정말 즐거워!)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幸せ(しあわせ, 행복)’는 좀 더 지속적인 만족감과 행복감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彼と一緒にいると幸せを感じる」(그와 함께 있.. 2025. 3. 21.
일본어에서 자주 쓰이는 의성어와 의태어 배우기 의성어(擬音語)란? – 소리를 흉내 내는 표현의성어(擬音語, ぎおんご)는 실제 나는 소리를 흉내 내어 표현한 단어로, 동물 울음소리, 자연의 소리, 사물에서 나는 소리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개 짖는 소리는 ‘ワンワン(멍멍)’, 고양이 울음소리는 ‘ニャーニャー(야옹야옹)’, 새가 지저귀는 소리는 ‘チュンチュン(짹짹)’처럼 표현됩니다. 또한, 자연의 소리를 나타내는 표현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햇빛이 강하게 내리쬘 때는 ‘ギラギラ(쨍쨍)’, 천둥소리는 ‘ゴロゴロ(우르릉)’라고 합니다. 사물에서 발생하는 소리도 의성어로 표현할 수 있으며, 시계가 똑딱거리는 소리는 ‘カチカチ(째깍째깍)’, 문을 두드리는 소리는 ‘コンコン(똑똑)’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의성어는 일본어 회화에서 자주 사용되며, .. 2025. 3. 20.
일본어에서 숫자를 활용하는 재미있는 표현 숫자가 들어간 대표적인 일본어 표현일본어에는 숫자를 활용한 다양한 관용 표현이 있으며, 이는 일상 회화뿐만 아니라 글쓰기와 비즈니스 상황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숫자 자체의 의미를 넘어서 특정한 개념이나 속담으로 자리 잡고 있어 일본어를 보다 풍부하고 재미있게 만들어 줍니다. 예를 들어, ‘100点満点(ひゃくてんまんてん, 만점)’은 100점을 가득 채웠다는 뜻으로, 완벽하거나 매우 뛰어난 상태를 의미합니다. 시험 성적뿐만 아니라, 「今日のプレゼンは100点満点だった!」(오늘의 프레젠테이션은 완벽했다!)처럼 칭찬할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一石二鳥(いっせきにちょう, 일석이조)’는 하나의 행동으로 두 가지 이득을 본다는 의미로, 「この仕事をすればお金ももらえて経験も積めるから一石二鳥だ」.. 2025. 3. 19.
일본어 동사 활용 완전 정복 1, 2, 3그룹 동사 차이 일본어 동사의 3가지 그룹 개요일본어 동사는 활용 방식에 따라 크게 1그룹(五段動詞), 2그룹(一段動詞), 3그룹(不規則動詞)으로 나뉘며, 각 그룹마다 변형 규칙이 다릅니다. 이를 정확히 이해하면 일본어 문법을 보다 쉽게 익히고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1그룹 동사는 어간이 변하며 다양한 활용형을 가지는 특징이 있으며, 2그룹 동사는 어미 변형이 단순하여 활용이 쉬운 편입니다. 3그룹 동사는 불규칙 동사로, 형태 변화가 일정하지 않아 별도로 암기해야 합니다. 일본어에서 동사의 활용은 문장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므로, 각 그룹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전에서 자연스럽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그룹 동사(五段動詞) – 변형이 다양한 동사1그룹 동사는 五段動詞(ごだんどうし)라고 불리며, 동사 어미가 ‘う.. 2025. 3. 19.
일본어 시험(JLPT, JPT)에서 자주 나오는 혼동 어휘 정리 비슷하지만 의미가 다른 혼동 어휘일본어 시험(JLPT, JPT)에서는 의미가 비슷하지만 문맥에 따라 다르게 쓰이는 단어들이 자주 출제됩니다. 이러한 단어들은 뜻이 유사해 보이지만 실제 사용 방식이 달라 시험에서 헷갈리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上る(のぼる)’와 ‘登る(のぼる)’는 둘 다 ‘오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사용되는 상황이 다릅니다. ‘上る’는 계단, 강, 도로 등 상대적으로 평탄한 곳을 올라가는 경우 사용되며, 「階段を上る」(계단을 오르다)처럼 씁니다. 반면, ‘登る’는 산이나 절벽처럼 가파른 곳을 오를 때 사용되며, 「山に登る」(산을 오르다)처럼 활용됩니다. 시험에서는 이러한 단어의 차이를 이해하고 문맥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의미가 헷갈리는 유사한 동사JLPT 시험에서는 비슷.. 2025. 3. 18.
일본어 문장의 흐름을 부드럽게 만드는 접속 표현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표현일본어에서 원인과 결과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접속 표현을 사용하면 문장의 흐름이 매끄러워집니다. 대표적인 표현으로 ‘それで(그래서)’가 있으며, 앞 문장에서 언급된 원인에 대한 결과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雨が降っていました。それで、試合が中止になりました。」(비가 내렸습니다. 그래서 경기가 중지되었습니다.)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표현으로 ‘だから(그러니까)’는 보다 구어적인 느낌을 주며, ‘そのため(그 때문에)’는 공식적인 문장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또한, ‘したがって(따라서)’는 논리적 연결이 필요한 글쓰기에서 많이 활용되며, 「需要が増えました。したがって、価格も上がりました。」(수요가 증가했습니다. 따라서 가격도 올랐습니다.)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화제.. 2025. 3. 17.